728x90
반응형
✅ 오늘의 헷갈리는 맞춤법
정답은 ‘메시지’, ‘메세지’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카카오톡이나 문자, 이메일을 보낼 때 “메세지”라고 쓰는 사람을 자주 보셨을 거예요.
그러나 외래어 표기법상 표준어는 ‘메시지(message)’입니다.
📌 ‘메시지(message)’의 표기 원칙
‘message’는 외래어입니다.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ss’는 ‘ㅅ’으로, ‘g’는 ‘ㅈ’으로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르면
message의 발음 기호인 [ˈmesɪdʒ]의 ɪ가 한글'이' 발음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세지’는 발음에 끌려 잘못 표기된 예입니다.
🧾 실생활 예문 5가지
- “그는 중요한 메시지를 남겼다.”
- “방금 도착한 메시지 확인해볼래?”
- “자동 응답 메시지 설정을 해두었다.”
- “그녀의 말은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었어.”
- “긴급 상황에 대한 메시지가 전송되었다.”
❌ 자주 틀리는 예문 5가지
- “카톡 메세지 왔어!” → ❌
- “중요한 메세지를 전달했어.” → ❌
- “메세지 확인 좀 해봐.” → ❌
- “그 광고는 강한 메세지를 전달해.” → ❌
- “스팸 메세지가 너무 많이 와.” → ❌
✔️ ‘메세지’ → ‘메시지’로 수정하세요.
🧠 퀴즈로 점검해보세요!
Q1.
“휴대폰에 새로운 (메시지/메세지)가 도착했다.”
Q2.
“그녀의 (메시지/메세지)는 감동적이었다.”
Q3.
“그건 단순한 (메시지/메세지)가 아니었어요.”
🔎 정답은 오른쪽을 드래그래보세요! 전부 ‘메시지’입니다!
🌱 관련 표현 확장 (비슷한 외래어/의미 확장 5가지)
- 노티(noitce/notice) → ‘공지’
- 예) “앱 노티가 자꾸 와요.”
- 알림 – 메시지의 순우리말 표현
- 예) “앱 알림을 꺼두었어요.”
- DM (다이렉트 메시지) – SNS에서 개인 메시지
- 예) “인스타로 DM 보낼게요.”
- 문자 – 휴대폰에서 쓰는 전통적 메시지
- 예) “문자로 알려줘.”
- 카톡 – 메시지를 주고받는 앱
- 예) “카톡 확인 좀 해줘.”
💬 마무리 요약
- ‘message’의 올바른 외래어 표기는 ‘메시지’입니다.
- ‘메세지’는 잘못된 발음 표기니 고쳐 씁시다!
👉 이제는 문자를 보내기 전, 철자도 한 번 더 확인해보는 센스!
728x90
반응형
'바트의 쉬운 맞춤법 & 국어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굳이’가 맞고 ‘구지’는 틀리다?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0) | 2025.05.25 |
---|---|
어이없다 vs 어의없다, 이제 제발 맞춤법 헷갈리지 말기! (0) | 2025.05.23 |
틀리기 쉬운 부사 ‘반드시’ vs ‘반듯이’ 맞춤법 완전 정복 (0) | 2025.05.19 |
‘계발’ vs ‘개발’ 정확히 알고 쓰면 업무 스킬 Up! (0) | 2025.05.17 |
되다 vs 돼 맞춤법 쉽게 구별하는 법, 예문 & 퀴즈까지!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