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트의 꿀팁

시어머니, 장모님 영어로는 어떻게?

by 김바트 2024. 5. 9.
728x90
반응형

어제는 어버이날이었죠? 저도 아내도 부모님께 카톡도 드리고 전화도 드리면서 새삼 돈 열심히 벌어야겠구나.. 더 좋은 거 맘 편히 받으실 수 있도록 우리가 잘 되어야겠구나.. 그런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오늘 아침! 출근길에 아내가 문득 "근데 우리나라는 시어머니, 시아버지, 장모님, 장인어른' 같은 호칭이 있는데, 영어로는 뭐라고 하려나?" 궁금해하더라고요. 저도 퍼뜩 떠오르지 않아서 "음.. husband's mother?" 이라며 엉터리 영어로 대답했는데, 혹시 저희처럼 궁금해하실 분들 있을까 봐, 정리해 봤어요!

'인척' 관계를 나타낼 때는? 'In raw'

결혼식에 가면 식후 사진 찍을 때 사진작가님이 '친인척 분들 먼저 나오시고요~' 할 때, 그 친인척! 이건 사실 친척과 인척을 합친 말인데요, 친척은 '혼인과 혈연을 기초로 상호 관계를 맺은 사람'을 뜻하고, 인척은 '혈연관계는 아니지만, 혼인으로 인해 맺어진 관계'를 뜻한다고 합니다. 자기 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혈족, 배우자 혈족의 배우자 등을 모두 인척으로 볼 수 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시부모님, 장인어른과 장모님은 모두 '혈족은 아니지만 혼인으로 맺어진 배우자의 혈족'이니까 인척으로 볼 수 있겠죠?

 

영어권에서 이러한 인척을 나타낼 때는 'In raw'라는 표현을 쓴다고 합니다. 시어머니와 장모님은 모두 아내와 남편 입장에서 '인척'이므로 'Mother in raw'라고 하고, 시아버지와 장인어른도 마찬가지로 'Father in raw'라고 하면 된다고 해요! 또 시부모님이나 장인어른과 장모님을 함께 부를 땐, 'Parents in raw'라고 부를 수도 있습니다. 'in raw'를 직역하면 '법적으로 맺어진' 정도가 될 텐데, 합리적으로 맞는 말이기도 하면서 또 너무 '법적으로~' 접근하니까 조금 정 없는 느낌도 들고..ㅎㅎ 그래도 우리나라처럼 '시댁'과 '처가댁'을 구분해 부르지 않으니 더 편리할 것 같기도 합니다!

시부모님과 장인어른, 장모님 말고도 'In raw'

 '인척 관계'이기만 하면 'in raw'를 사용해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며느리는? 'Daughter in raw', 사위는? 'Son in raw'라고 할 수 있겠죠? 또 시아주버니, 시동생, 처남, 매부, 자형, 동서 등등.. 인척 관계의 '남자'들은 'Brother in raw', 형수, 시누이, 올케, 처제, 처형 등등.. 인척 관계의 '여자'들은 'Sister in raw'가 됩니다. 와, 적고 보니 영어식 표현이 확실히 직관적이고 쉽기는 하네요. in raw 인척 표현을 표로 정리해 봤어요.

한국식 표현 영어식 표현(~ in raw)
시아버지, 장인어른 Father in raw
시어머니, 장모님 Mother in raw
사위 Son in raw
며느리 Daughter in raw
인척 관계의 남자(시아주버니, 시동생, 처남, 매부, 자형, 동서) Brother in raw
인척 관계의 여자(형수, 시누이, 올케, 처제, 처형) Sister in raw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