étudier le coréen5 ‘벌이다’ vs ‘벌리다’ 정확한 뜻과 활용법, 예문으로 공부하자! ‘벌이다’는 어떤 일을 시작하다, ‘벌리다’는 넓히다. 의미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예문과 함께 소개합니다.✅ “사업을 벌린다?” vs. “입을 벌인다?”이 둘, 어떻게 구분하세요?“그는 새로운 사업을 벌였다.”“그녀는 입을 크게 벌였다.”두 문장은 얼핏 보면 유사한 동사처럼 보이지만,‘벌이다’와 ‘벌리다’는 전혀 다른 뜻과 용도로 쓰이는 단어입니다.헷갈리면 문장의 흐름과 의미도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오늘 이 시간을 통해 정확하게 구분해볼게요!📌 기본 개념 정리▪️ 벌이다의미:① 어떤 일이나 계획을 새로 시작하다② 일을 여러 개 나열하거나 늘어놓다용도: 주로 행동, 사건, 사업, 계획 등의 ‘추상적인 행위’를 시작할 때 사용예시:전쟁을 벌이다싸움을 벌이다사업을 벌이다잔치를 벌이다▪️ 벌리다의미:.. 2025. 6. 6. '안절부절못하다’가 맞습니다! 틀리기 쉬운 관용 표현 정리 ‘안절부절못하다’는 관용 표현, ‘못하다’까지 포함이 맞습니다. 오해하기 쉬운 표현, 정확히 알아두세요!✅ 정말 자주 틀리는 표현, “안절부절못하다”“면접 결과 기다리느라 안절부절하다.”“그 말을 듣고 그는 안절부절했다.”과연 위 문장, 맞는 표현일까요?정답은 NO!‘안절부절하다’는 틀린 말입니다.올바른 표현은 ‘안절부절못하다’입니다.📌 ‘안절부절못하다’란?이 표현은 관용어입니다.사전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어요.어떤 일에 대해 불안하거나 걱정되어 가만히 있지 못하고 매우 안절부절못하는 상태. 즉, ‘안절부절하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이며,반드시 ‘못하다’까지 붙어서 ‘안절부절못하다’로 써야 합니다.📜 어원으로 살펴보기‘안절부절(安節不節)’은 고유어 표현으로,‘어찌할 바를 몰라서 어찌할 줄을 모.. 2025. 6. 4. 틀리기 쉬운 표현 ‘칠칠맞다 vs 칠칠맞지 못하다’ 이렇게 구분하세요! ‘칠칠맞다’는 제대로 갖추었음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칠칠맞지 못하다’는 정반대 의미이죠. 두 표현의 뉘앙스를 정확히 구분해보세요.✅ 이 표현,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야, 정말 칠칠맞아!”“아휴, 칠칠맞지 못하게 또 흘리고 다니네!”혹시 위 두 표현 중 하나를 자주 쓰시나요?그런데 여기엔 의미의 큰 착각이 숨어 있습니다.많은 사람들이 “칠칠맞다”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데, 사실은 그 반대예요.진짜 부정적인 표현은 바로 ‘칠칠맞지 못하다’입니다.📌 개념 정리: 이 말, 무슨 뜻일까?▪️ 칠칠맞다의미: 말이나 행동이 단정하고 야무지다, 성격이 차분하고 성실하다뉘앙스: 긍정적예시: “그 아이는 성격이 참 칠칠맞다.”▪️ 칠칠맞지 못하다의미: 말이나 행동이 어수선하고 덤벙댄다, 정돈되지.. 2025. 5. 29. 틀리기 쉬운 부사 ‘반드시’ vs ‘반듯이’ 맞춤법 완전 정복 ✅ 오늘의 헷갈리는 맞춤법정답은 ‘반드시’, 다른 의미의 말은 ‘반듯이’입니다.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 자주 헷갈리지만, 의미는 완전히 다릅니다.하나는 ‘꼭’, ‘틀림없이’라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바르게’, ‘곧게’라는 뜻이죠.📌 ‘반드시’와 ‘반듯이’의 차이반드시: ‘꼭’, ‘어김없이’, ‘필수로’의 의미를 가진 부사예)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반듯이: ‘비뚤어지지 않고 가지런하게’의 의미예) “책을 반듯이 정리해 놓았다.”✔️ 문맥에 따라 구별해서 사용해야 하며, 혼용하면 의미가 완전히 달라져요. 헷갈린다면 '반듯이'를 써야 하는 상황에서는 '반듯하게'로 고쳐도 말이 통해요!🧾 실생활 예문 5가지“중요한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해요.”“이번에는 반드시 성공할 거야.”“퇴근 전.. 2025. 5. 19. ‘계발’ vs ‘개발’ 정확히 알고 쓰면 업무 스킬 Up! ✅ 오늘의 헷갈리는 맞춤법정답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계발’: 자기 능력, 재능을 ‘일깨움’‘개발’: 새로운 것의 ‘창조’, ‘개선’, ‘발전’발음은 같지만, 의미는 완전히 다른 단어예요. 문맥에 따라 정확히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계발’과 ‘개발’의 차이계발(啓發): 잠재된 능력이나 자질을 일깨워서 발전시킴예) “자기 계발을 위한 독서”개발(開發): 물리적, 산업적, 기술적 성장이나 창조예) “신기술 개발”, “도시 개발”✔️ ‘자기계발서’는 맞지만, ‘자기개발서’는 틀립니다!🧾 실생활 예문 5가지“그는 꾸준히 자기 계발에 힘쓰고 있다.”“AI 기술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이 책은 계발서로 유명해요.”“신약 개발에 성공했어요.”“계발을 게을리하면 성장할 수 없죠.”❌ 자주 틀리는 예.. 2025. 5.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