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강사7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 무난 vs 문안, 둘 다 맞다고? [바트의 맞춤법 공부] '다 맞다고?' 시리즈,오늘은 [무난]과 [문안]을살펴보겠습니다.[무난]과 [문안] 역시둘 다 국어사전에 실린올바른 단어입니다.다만 올바른 상황에 써야'맞춤법'이 맞다고 할 수 있겠죠!?1) 무난(無難) : 어려움, 단점 등이 없음.[무난]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먼저 단어를 이루는한자어를 하나하나 살펴볼 텐데요.비교적 쉬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어요! [무:無] : 없다.[난:難] : 어렵다, 꺼리다, 싫어하다. 즉, '어렵거나 싫어할 만한 요소가 없음'정도로 이해됩니다.따라서 어떤 일의 진행상황 또는특정 인물이나 성품을 평가할 때'무난하다'라고 쓸 수 있어요.[무난하다]1. 큰 어려움이 없다.  : 실력이 뛰어나 예선을 무난하게 통과했다.2. 단점, 흠잡을 만한 것이 없다.  : .. 2024. 6. 18.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 해제 vs 해지, 둘 다 맞다고? 안녕하세요,전직 국어강사, 지금도 글 쓰는 일을 하고 있는바트입니다!  [바트의 맞춤법 공부] '다 맞다고?' 시리즈,오늘은 [해제]와 [해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해제(解除) : 구속, 제약 등에서 자유로워지는 일 [해제]의 뜻을 이해하려면,먼저 단어를 이루는 한자어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해:解] : 풀다, 벗다, 깨닫다.[제:除] : 덜다, 없애다. 즉, 무엇인가 묶여 있거나구속, 제약된 상태를 풀고, 벗고, 덜고, 없애는 느낌입니다.구체적인 국어사전의 뜻을 보면아래와 같습니다.[해제]1. 설치한 장비 따위를 풀어 없앰.  : 비로소 군인들은 군장을 해제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2. 묶인 것,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법령 따위를 풀어 자유롭게 함.  : 그는 계엄 해제를 결정했다.3. 책.. 2024. 6. 11.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 모레 vs 내일모레, 둘 다 맞다고? 전직 국어강사,지금도 글 쓰는 일을 하고 있는바트입니다. ;-] [바트의 맞춤법 공부] '다 맞다고?' 시리즈,오늘은 [모레]와 [내일모레]를 살펴보겠습니다. '어휘력 부족'에서 출발한''문해력 부족' 문제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얼마 전 제가 본 영상에서초등학생들에게 여러 단어를 보여주고뜻을 유추해 보라고 했는데,'용수철'을 보고 '남자 이름' 같다고..ㅎㅎ 어린 친구들이야 요즘 쓰지 않는 단어가낯설 수도 있다지만사실 요즘은 성인들의 문해력도풍자의 대상이 되는 것 같아요. '금일'을 '금요일'으로 오해한다거나'0명 모집'을 '한 사람도 뽑지 않는다'라고이해하는 일이 실제로 벌어져서'현실이 코미디보다 더 코미디 같다'라는 말이더 이상 우스갯소리가 아니게 되었죠? 최근 이슈가 되는 비슷한 .. 2024. 6. 10.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 돋우다 vs 돋구다, 둘 다 맞다고? 전직 국어강사,지금도 글 쓰는 일을 하고 있는바트입니다. ;-] [바트의 맞춤법 공부] '다 맞다고?' 시리즈,오늘은 [돋우다]와 [돋구다]를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지금도 글 쓰는 일을 하고 있어요.백화점 입점 브랜드의카피를 쓰기도 하고이커머스 입점 브랜드의 브랜드 스토리를 쓰기도 하는데요,사실 저도 글 쓰다 보면문득 헷갈리는 단어들이 꽤 많거든요. 오늘 살펴볼 [돋우다]와 [돋구다]는 둘 다 맞는 표현인데,적절한 상황에 맞춰 쓰기가늘 헷갈리더라고요! 특히 사동형 접미사 '-우'와 '-구'가각각 사용된 의미와,적절한 활용법을 알아봅시다!1) 돋우다 : 물리적 위치를 끌어올리거나, 정서적 상태를 고취시키다.먼저 [돋우다]는 [돋다]라는 기본형 동사에'-우'라는 사동형 접미사가 파생된 동사예요.사동형 접미사.. 2024. 6. 9.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 가늠하다 vs 가름하다 vs 갈음하다, 셋 다 맞다고? 전직 국어강사, 지금도 글 쓰는 일을 하고 있는 바트입니다. :-] [바트의 맞춤법 공부] 카테고리를 기획한 뒤로 하나씩 포스팅하다 보니.. 맞춤법이 '맞다, 틀리다' 보다는 '다 맞다고?' 콘셉트로 흘러가는 듯하네요. 물론, 아예 잘못 쓰는 단어도 있어요. 예를 들면 '몇일' 이라는 단어는 아예 없거든요. '며칠'이라고만 써야 바른 맞춤법, 표기법입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이렇게 써야 하나, 저렇게 써야 하나' 고민하게 되는 맞춤법 중 많은 사례가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인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한동안은 '다 맞다고?' 콘셉트로 포스팅해 볼 계획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가늠하다 / 가름하다 / 갈음하다 3개 단어를 알아볼 거예요!1) 가늠하다 : 헤아려보다, 짐작하다, 예측해 보다 .. 2024. 6. 4.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 -든지 vs -던지, 둘 다 맞다고? 저는 사실 전직 국어강사였답니다.국어강사만 했던 것은 아니고글 쓰는 여러 직업을 해왔고,지금도 하고 있어요.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에서는매일 1단어씩, 헷갈리는 맞춤법을 확인하고그 이유와 용례도 알려드릴게요!1) 가든지? 가던지?오늘 맞춤법을 알아볼 단어는'-든지'와 '-던지'입니다!물론 정확히 이야기하면 '단어'라기보다는동사, 형용사 등의 '용언'을 구성하는'연결 어미'라고 볼 수 있는데요,결론을 말하면, "둘 다 맞춤법에 맞는 단어"입니다!단지 어떤 상황에 활용하느냐에 따라"활용의 적절성 여부"가 달라질 뿐이죠!2) 연결 어미? 어미가 뭐야? '-든지'와 '-던지'의 구분을 알아보기 전에'연결 어미', '어미'가 무엇인지 좀 알아볼까요? 우리 한글 품사 구분에서[동사/형용사]는 [용언]에 ..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