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오늘의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는 동사 원형, ‘돼’는 활용형입니다.
일상에서 “잘 돼 가?” 또는 “이게 되나?” 같은 말을 자주 쓰는데요.
여기서 ‘되다’와 ‘돼’는 어떻게 구분할까요?

📌 ‘되다’와 ‘돼’의 차이
- 되다: 기본형 동사.
- 예) “그 일이 되다니 기쁘다.”
- 돼: ‘되다’의 활용형, ‘되어’의 준말.
- 예) “일이 잘 돼서 다행이다.”
✔️ 문장 속에서 조사 앞에 오거나 문장 끝에 오는 경우 대부분은 ‘돼’입니다.
반면, 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기본 형태는 항상 ‘되다’죠.
따라서, 헷갈릴 때는 되/돼를 써야 하는 자리에서 '되어'로 풀어서 적어도 말이 되는지 확인해봅시다.
'되어'로 풀어써도 말이 된다면? → '돼'
'되어'로 풀어쓰니 말이 안 된다면? → '되'
🧾 실생활 예문 5가지
- “요즘 일이 잘 돼서 기분이 좋아.”
- “이 프로젝트가 꼭 돼야 해.”
- “이건 꿈이 되다니 믿기지 않아.”
- “마음먹은 대로 돼야 할 텐데.”
- “어떻게 하면 그렇게 된다는 거지?”
❌ 자주 틀리는 예문 5가지
- “일이 잘 되 가고 있어.” → ❌
- “그게 되면 알려줘.” → ❌
- “어제 일은 그냥 되 버렸어.” → ❌
- “그게 되어야 성공할 수 있어.” → ❌
- “모든 일이 계획대로 되고 있어요.” → ❌
✔️ 위 문장들은 모두 ‘돼’로 써야 맞습니다.
🧠 퀴즈로 점검해보세요!
Q1.
“모든 일이 잘 (되/돼) 가고 있다.”
Q2.
“시험에 합격하게 (되/돼)서 기뻐요.”
Q3.
“그렇게 하면 안 (되/돼)!”
🔎 정답은 오른쪽을 드래그해보세요! 전부 ‘돼’입니다!
🌱 관련 표현 확장 (‘되다’ 계열 활용 표현 5가지)
- 되어가다 – 점점 진행되는 상태
- 예) “겨울이 되어간다.”
- 되어버리다 – 변화가 완전히 일어났음을 강조
- 예) “그는 괴물이 되어버렸다.”
- 되기도 하다 – 가능성 강조
- 예) “때론 그게 기회가 되기도 해.”
- 되면 좋겠다 – 희망의 의미
- 예) “이번엔 꼭 합격이 되면 좋겠다.”
- 되었네 – 완료된 상태
- 예) “드디어 일이 다 되었네.”
💬 마무리 요약
- ‘되다’는 기본형, ‘돼’는 활용형입니다.
- 헷갈릴 땐 ‘되어’를 넣어보고 자연스러우면 ‘돼’로 쓰세요!
👉 예: “일이 되어 가고 있다” → “일이 돼 가고 있다”
728x90
반응형
'바트의 쉬운 맞춤법 & 국어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리기 쉬운 부사 ‘반드시’ vs ‘반듯이’ 맞춤법 완전 정복 (0) | 2025.05.19 |
---|---|
‘계발’ vs ‘개발’ 정확히 알고 쓰면 업무 스킬 Up! (0) | 2025.05.17 |
‘며칠’ vs ‘몇일’, 예문으로 확실히 파악하는 맞춤법 정복! (0) | 2025.05.13 |
‘금세’ vs ‘금새’ 차이? 맞춤법과 예문으로 쉽게 정리 (0) | 2025.05.11 |
[단어 속 상식] 백색소음 뜻? 영어로도 White noise인 이유? 이해하기 쉽게 설명! (0)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