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공부2

‘금세’ vs ‘금새’ 차이? 맞춤법과 예문으로 쉽게 정리 ✅ 오늘의 헷갈리는 맞춤법**‘금세’**는 맞고, **‘금새’**는 틀린 표현입니다.우리가 일상에서 “그 사람, 금새 갔어.” 혹은 “금세 도착했네?”와 같이 자주 쓰는 말, 과연 어느 쪽이 맞을까요?결론부터 말하면, ‘금세’가 올바른 표현이고, ‘금새’는 잘못된 표기입니다.왜 그런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금세’란 어떤 말일까?‘금세’는 **‘금시에’**의 준말입니다.‘금시(今時)’란 한자로 ‘지금 이때’라는 뜻인데, 이것이 축약되어 ‘금세’가 되었죠.뜻은 ‘바로’, ‘곧’, ‘순식간에’와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반면, ‘금새’는 표준어가 아니며, 국립국어원 표기 기준에서도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공적인 문서나 글쓰기, 시험 등에서는 반드시 **‘금세’**로 써야 합니다.🧾 실생활 .. 2025. 5. 11.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 붙이다 vs 부치다, 둘 다 맞다고? 저는 사실 전직 국어강사였답니다.국어강사만 했던 것은 아니고글 쓰는 여러 직업을 해왔고,지금도 하고 있어요.  [전직 국어강사의 맞춤법 공부]에서는매일 1단어씩, 헷갈리는 맞춤법을 확인하고그 이유와 용례도 알려드릴게요! 1) 붙이다? 부치다?오늘 맞춤법을 알아볼 단어는'붙이다'와 '부치다'입니다!아마 많은 분들이 "잉? 당연히 '붙이다'가 맞는 거 아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결론을 말하면, "둘 다 맞춤법에 맞는 단어"입니다!단지 어떤 상황에 활용하느냐에 따라"활용의 적절성 여부"가 달라질 뿐이죠!2) 붙이다 : '붙다'의 사동형 동사 '붙이다'는 기본형인 '붙다' 단어에 사동형 선어말어미 -이-가 붙어 만들어진사동사 단어입니다.따라서 기본형인 '붙다' 단어의 뜻과 연결될 때,가장 적합한 활용이 .. 2024. 5. 29.